다른 명령
편집 요약 없음 |
|||
29번째 줄: | 29번째 줄: | ||
== 소제목 2.1 == | == 소제목 2.1 == | ||
__NOTOC__ | __NOTOC__ | ||
<source> | </source> | ||
(이 경우 목차가 표시되지 않습니다.) | (이 경우 목차가 표시되지 않습니다.) | ||
2025년 5월 30일 (금) 17:05 판
미디어위키에서 사용되는 주요 예약어(Magic Words)
- 미디어위키의 예약어는 위키 문법 내에서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자열입니다.
- 주로 시스템 정보 표시, 날짜/시간 포맷팅, 페이지 상태 표시, 페이지 속성 제어 등 다양한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.
크게 두 가지 형태의 예약어
1. 동작어(Behavior Switches)
- : 페이지의 동작 방식이나 특성을 제어합니다. 보통
__WORD__
와 같이 두 개의 밑줄로 둘러싸여 있습니다.
2. 변수(Variables)
- : 페이지와 관련된 정보를 동적으로 표시합니다. 보통
{{WORD}}
와 같이 중괄호 두 개로 둘러싸여 있습니다.
동작어 (Behavior Switches)
- 이들은 페이지의 특정 동작이나 표시 방식을 제어합니다. 주로 페이지의 상단이나 특정 섹션에 배치됩니다.
동작어
__NOTOC__
- 설명: 페이지에 목차(Table of Contents, TOC)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합니다. 일반적으로 제목이 4개 이상일 때 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
- 사용법:
__NOTOC__
- 예시:
= 제목 1 = == 소제목 1.1 == == 소제목 1.2 == = 제목 2 = == 소제목 2.1 == __NOTOC__
(이 경우 목차가 표시되지 않습니다.)
__FORCETOC__
- 설명: 제목이 4개 미만이더라도 강제로 목차를 표시합니다.
- 사용법:
__FORCETOC__
- 예시:
__FORCETOC__ = 제목 1 = == 소제목 1.1 == = 제목 2 =
(이 경우에도 목차가 표시됩니다.)
__TOC__
- 설명: 목차가 생성될 위치를 수동으로 지정합니다.
__FORCETOC__
와 달리 목차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 - 사용법:
__TOC__
- 예시:
= 소개 = 여기에 소개 내용이 있습니다. __TOC__ = 상세 내용 = == 부분 1 == == 부분 2 ==
__NOEDITSECTION__
- 설명: 페이지의 각 섹션 옆에 나타나는 "편집" 링크를 숨깁니다. 주로 전체 페이지를 한 번에 편집하는 것이 더 적합하거나 섹션별 편집을 원치 않을 때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
__NOEDITSECTION__
__NEWSECTIONLINK__
- 설명: 페이지 맨 위에 "새 주제 추가" 또는 "새 섹션 추가" 링크를 표시합니다. 토론 문서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
__NEWSECTIONLINK__
__NOCONTENTCONVERT__ (또는 __NOCC__)=
- 설명: 특정 언어 변환(예: 중국어 간체/번체)이 적용되지 않도록 합니다. 텍스트가 특정 변환 규칙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막을 때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
__NOCONTENTCONVERT__
또는__NOCC__
__NOINDEX__
- 설명: 검색 엔진(Google, Naver 등)이 이 페이지를 색인하지 않도록 합니다. robots `meta` 태그에 `noindex`를 추가합니다.
- 사용법:
__NOINDEX__
__NOFOLLOW__
- 설명: 검색 엔진이 이 페이지의 링크를 따라가지 않도록 합니다. robots `meta` 태그에 `nofollow`를 추가합니다. 주로 외부 스팸 링크 방지에 사용되지만, 내부 링크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.
- 사용법:
__NOFOLLOW__
__INDEX__
- 설명: 명시적으로 검색 엔진이 이 페이지를 색인하도록 합니다. (기본값이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.)
- 사용법:
__INDEX__
__FOLLOW__
- 설명: 명시적으로 검색 엔진이 이 페이지의 링크를 따라가도록 합니다. (기본값이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.)
- 사용법:
__FOLLOW__
__NOTITLECONVERT__</source> (또는 <source>__NOTC__</source>): * 설명: 페이지 제목에 언어 변환이 적용되지 않도록 합니다. * 사용법: <source>__NOTITLECONVERT__</source> 또는 <source>__NOTC__</source> ====<nowiki>__DISPLAYTITLE:새 제목__
- 설명: 페이지의 실제 제목(파일 이름)을 변경하지 않고,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제목만 다르게 설정합니다.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특정 문자를 제목에 포함할 수 없을 때 유용합니다.
- 사용법:
__DISPLAYTITLE:새로 보여줄 제목__
- 예시:
__DISPLAYTITLE:C++ 개발 환경__
__NOCATEGORYSORT__
- 설명: 페이지가 카테고리에 분류될 때, 페이지 제목 대신 `DEFAULTSORT`나
{{PAGENAME}}
으로 정렬되는 것을 막고, 오직 ``에 명시된 정렬키만 사용하도록 합니다. - 사용법:
__NOCATEGORYSORT__
__HIDDENCAT__
- 설명: 해당 카테고리를 '숨김 카테고리'로 표시합니다. 숨김 카테고리는 일반적으로 페이지 하단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목록에 나타나지 않으며, 특수:카테고리 페이지에서도 별도로 표시됩니다. (관리 목적의 카테고리에 주로 사용)
- 사용법:
__HIDDENCAT__
(카테고리 문서 내에 사용)
__NOINDEX__
- 설명: 페이지가 검색 엔진에 의해 인덱스되는 것을 막습니다. (위에서 언급된 `NOINDEX`와 동일, 중복 기재 방지)
변수 (Variables)
- 페이지에 동적인 정보를 삽입하는 데 사용됩니다.
미디어위키에서 사용되는 주요 예약어(Magic Words)
- 미디어위키의 예약어는 위키 문법 내에서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자열입니다.
- 주로 시스템 정보 표시, 날짜/시간 포맷팅, 페이지 상태 표시, 페이지 속성 제어 등 다양한 동적인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.
크게 두 가지 형태의 예약어
1. 동작어(Behavior Switches)
- : 페이지의 동작 방식이나 특성을 제어합니다. 보통
__WORD__
와 같이 두 개의 밑줄로 둘러싸여 있습니다.
2. 변수(Variables)
- : 페이지와 관련된 정보를 동적으로 표시합니다. 보통
{{WORD}}
와 같이 중괄호 두 개로 둘러싸여 있습니다.
동작어 (Behavior Switches)
- 이들은 페이지의 특정 동작이나 표시 방식을 제어합니다. 주로 페이지의 상단이나 특정 섹션에 배치됩니다.
__NOTOC__
- 설명: 페이지에 목차(Table of Contents, TOC)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합니다. 일반적으로 제목이 4개 이상일 때 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
- 사용법:
__NOTOC__
- 예시:
= 제목 1 = == 소제목 1.1 == == 소제목 1.2 == = 제목 2 = == 소제목 2.1 == __NOTOC__
(이 경우 목차가 표시되지 않습니다.)
__FORCETOC__
- 설명: 제목이 4개 미만이더라도 강제로 목차를 표시합니다.
- 사용법:
__FORCETOC__
- 예시:
__FORCETOC__ = 제목 1 = == 소제목 1.1 == = 제목 2 =
(이 경우에도 목차가 표시됩니다.)
__TOC__
- 설명: 목차가 생성될 위치를 수동으로 지정합니다.
__FORCETOC__
와 달리 목차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 - 사용법:
__TOC__
- 예시:
= 소개 = 여기에 소개 내용이 있습니다. __TOC__ = 상세 내용 = == 부분 1 == == 부분 2 ==
__NOEDITSECTION__
- 설명: 페이지의 각 섹션 옆에 나타나는 "편집" 링크를 숨깁니다. 주로 전체 페이지를 한 번에 편집하는 것이 더 적합하거나 섹션별 편집을 원치 않을 때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
__NOEDITSECTION__
__NEWSECTIONLINK__
- 설명: 페이지 맨 위에 "새 주제 추가" 또는 "새 섹션 추가" 링크를 표시합니다. 토론 문서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
__NEWSECTIONLINK__
__NOCONTENTCONVERT__</source> (또는 <source>__NOCC__</source>): * 설명: 특정 언어 변환(예: 중국어 간체/번체)이 적용되지 않도록 합니다. 텍스트가 특정 변환 규칙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막을 때 사용됩니다. * 사용법: <source>__NOCONTENTCONVERT__</source> 또는 <source>__NOCC__</source> ====<nowiki>__NOINDEX__
- 설명: 검색 엔진(Google, Naver 등)이 이 페이지를 색인하지 않도록 합니다. robots `meta` 태그에 `noindex`를 추가합니다.
- 사용법:
__NOINDEX__
__NOFOLLOW__
- 설명: 검색 엔진이 이 페이지의 링크를 따라가지 않도록 합니다. robots `meta` 태그에 `nofollow`를 추가합니다. 주로 외부 스팸 링크 방지에 사용되지만, 내부 링크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.
- 사용법:
__NOFOLLOW__
__INDEX__
- 설명: 명시적으로 검색 엔진이 이 페이지를 색인하도록 합니다. (기본값이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.)
- 사용법:
__INDEX__
__FOLLOW__
- 설명: 명시적으로 검색 엔진이 이 페이지의 링크를 따라가도록 합니다. (기본값이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.)
- 사용법:
__FOLLOW__
__NOTITLECONVERT__</source> (또는 <source>__NOTC__</source>): * 설명: 페이지 제목에 언어 변환이 적용되지 않도록 합니다. * 사용법: <source>__NOTITLECONVERT__</source> 또는 <source>__NOTC__</source> ====<nowiki>__DISPLAYTITLE:새 제목__
- 설명: 페이지의 실제 제목(파일 이름)을 변경하지 않고,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제목만 다르게 설정합니다.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특정 문자를 제목에 포함할 수 없을 때 유용합니다.
- 사용법:
__DISPLAYTITLE:새로 보여줄 제목__
- 예시:
__DISPLAYTITLE:C++ 개발 환경__
__NOCATEGORYSORT__
- 설명: 페이지가 카테고리에 분류될 때, 페이지 제목 대신 `DEFAULTSORT`나
{{PAGENAME}}
으로 정렬되는 것을 막고, 오직 ``에 명시된 정렬키만 사용하도록 합니다. - 사용법:
__NOCATEGORYSORT__
__HIDDENCAT__
- 설명: 해당 카테고리를 '숨김 카테고리'로 표시합니다. 숨김 카테고리는 일반적으로 페이지 하단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목록에 나타나지 않으며, 특수:카테고리 페이지에서도 별도로 표시됩니다. (관리 목적의 카테고리에 주로 사용)
- 사용법:
__HIDDENCAT__
(카테고리 문서 내에 사용)
__NOINDEX__
- 설명: 페이지가 검색 엔진에 의해 인덱스되는 것을 막습니다. (위에서 언급된 `NOINDEX`와 동일, 중복 기재 방지)
변수 (Variables)
- 페이지에 동적인 정보를 삽입하는 데 사용됩니다.
날짜 및 시간 관련 변수
{{CURRENTYEAR}}
현재 연도 (예: 2025)
{{CURRENTMONTH}}
현재 월 (01-12, 예: 05)
{{CURRENTMONTHNAME}}
현재 월의 이름 (예: 5월)
{{CURRENTMONTHNAMEGEN}}
현재 월의 소유격 이름 (예: 5월의, 한국어에서는 잘 사용 안됨)
{{CURRENTMONTHABBREV}}
현재 월의 약어 (예: May)
{{CURRENTDAY}}
현재 일 (1-31, 예: 30)
{{CURRENTDAY2}}
현재 일 (01-31, 0으로 시작, 예: 30)
{{CURRENTDOW}}
현재 요일 (0=일요일, 6=토요일, 예: 5)
{{CURRENTDAYNAME}}
현재 요일의 이름 (예: 금요일)
{{CURRENTTIME}}
현재 시간 (HH:MM, 예: 15:58)
{{CURRENTHOUR}}
현재 시간 (HH, 예: 15)
{{CURRENTMINUTE}}
현재 분 (MM, 예: 58)
{{CURRENTSECOND}}
현재 초 (SS, 예: 49)
{{CURRENTWEEK}}
현재 주 (1-53, 예: 22)
{{CURRENTTIMESTAMP}}
현재 타임스탬프 (YYYYMMDDHHMMSS, 예: 20250530155849)
===={{LOCALYEAR}}</source>, <source>{{LOCALMONTH}}</source>, <source>{{LOCALDAY}}</source> 등: `CURRENT` 대신 `LOCAL`을 붙이면 위키의 설정된 시간대가 아닌, 사용자의 로컬 시간대에 따라 표시됩니다.
페이지 정보 관련 변수
{{PAGENAME}}
현재 페이지의 전체 이름 (예: `메인페이지` 또는 `위키백과:사랑방`)
{{PAGENAMEE}}
URL 인코딩된 현재 페이지 이름 (예: `%EB%A9%94%EC%9D%B8%ED%8E%98%EC%9D%B4%EC%A7%80`)
{{FULLPAGENAME}}
현재 페이지의 전체 이름 (네임스페이스 포함, `PAGENAME`과 같지만 특정 상황에서 다를 수 있음)
{{FULLPAGENAMEE}}
URL 인코딩된 전체 페이지 이름
{{SUBPAGENAME}}
현재 페이지가 하위 페이지인 경우, 하위 페이지의 이름만 표시 (예: `부모페이지/하위페이지`에서 `하위페이지`)
{{SUBPAGENAMEE}}
URL 인코딩된 하위 페이지 이름
{{BASEPAGENAME}}
현재 페이지가 하위 페이지인 경우, 상위 페이지의 이름만 표시 (예: `부모페이지/하위페이지`에서 `부모페이지`)
{{BASEPAGENAMEE}}
URL 인코딩된 상위 페이지 이름
{{NAMESPACE}}
현재 페이지가 속한 네임스페이스의 이름 (예: `사용자`, `파일`, `틀`)
{{NAMESPACEE}}
URL 인코딩된 네임스페이스 이름
{{TALKPAGENAME}}
현재 페이지의 토론 문서 이름 (예: `사용자토론:홍길동`)
{{TALKPAGENAMEE}}
URL 인코딩된 토론 문서 이름
{{SUBJECTPAGENAME}}</source> (또는 <source>{{ARTICLEPAGENAME}}</source>): 현재 토론 문서의 본문 문서 이름 (예: `사용자토론:홍길동`에서 `사용자:홍길동`) ====<nowiki>{{SUBJECTPAGENAMEE}}</source> (또는 <source>{{ARTICLEPAGENAMEE}}</source>): URL 인코딩된 본문 문서 이름 ====<nowiki>{{REVISIONID}}
현재 페이지의 최신 리비전 ID (데이터베이스 ID)
{{REVISIONDAY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날짜 (일)
{{REVISIONMONTH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날짜 (월)
{{REVISIONYEAR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날짜 (연도)
{{REVISIONTIMESTAMP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타임스탬프
{{REVISIONUSER}}
현재 리비전을 마지막으로 수정한 사용자 이름
{{NUMBEROFPAGES}}
위키 전체의 총 페이지 수
{{NUMBEROFARTICLES}}
위키 전체의 문서(본문 네임스페이스) 수
{{NUMBEROFEDITS}}
위키 전체의 총 편집 수
{{NUMBEROFUSERS}}
위키 전체의 총 사용자 수
{{NUMBEROFADMINS}}
위키 전체의 총 관리자 수
{{NUMBEROFFILES}}
위키 전체의 총 파일 수
{{SITENAME}}
위키의 이름 (LocalSettings.php에서 `$wgSitename`으로 정의)
{{SERVER}}
위키 서버의 URL ([1](http://example.com))
{{SERVERNAME}}
위키 서버의 호스트 이름 (example.com)
{{SCRIPTPATH}}
위키 스크립트가 있는 경로 (예: `/w`)
{{CURLEDITURL}}
현재 페이지의 편집 URL (수정 중이거나 미리보기 중일 때 유용)
2.3. 기타 변수
{{DEFAULTSORT:정렬 키}}
- 설명: 페이지가 여러 카테고리에 분류될 때 사용되는 기본 정렬 키를 설정합니다. 개별 ``에 명시된 정렬 키보다 우선순위가 낮습니다.
- 사용법:
{{DEFAULTSORT:홍길동}}
(이름으로 정렬할 때 성이 먼저 오도록)
{{#time:format string|time string}}
- 설명: 날짜/시간 포맷팅 함수. 매우 강력하며, 다양한 형식으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법:
*
{{#time:Y-m-d H:i:s}}
(현재 시간) *
{{#time:F j, Y|2023-01-01}}
(특정 시간) *
{{#time:l, j M Y|now - 1 week}}
(상대적인 시간)
- 포맷 문자열 예시:
* `Y`: 4자리 연도 (2025) * `m`: 2자리 월 (05) * `d`: 2자리 일 (30) * `H`: 24시간 형식 (15) * `i`: 2자리 분 (58) * `s`: 2자리 초 (49) * `F`: 월의 전체 이름 (May) * `M`: 월의 약어 (May) * `j`: 일 (선행 0 없음, 30) * `l`: 요일의 전체 이름 (Friday)
{{#stat:통계 이름}}
- 설명: 미디어위키 내부의 통계 정보를 가져옵니다. `NUMBEROFPAGES` 등과 유사하지만, `stat`는 더 유연하고 다양한 통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법:
{{#stat:pages}}
,{{#stat:edits}}
,{{#stat:users}}
등. - 예시: `현재 위키의 총 페이지 수는 {{#stat:pages}} 개 입니다.`
{{int:메시지 키}}
- 설명: 미디어위키 시스템 메시지를 가져옵니다. 특정 UI 텍스트를 위키 페이지 내에서 참조할 때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
{{int:edit}}
(편집)
---
- 예약어 사용 시 주의사항
- 대소문자 구분: 대부분의 예약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. (예:
__NOTOC__
와__notoc__
는 동일) 하지만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가 일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- 중괄호/밑줄: 동작어는
__
(두 개의 밑줄)로 둘러싸고, 변수는{{ }}
(두 개의 중괄호)로 둘러싸야 합니다. `#time`과 같은 일부 파서 함수는 `#` 접두사를 사용합니다. - 위치: 동작어는 페이지의 어느 곳에나 배치할 수 있지만, 일반적으로 페이지 상단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캐싱: 일부 예약어(특히 시간 관련)는 페이지 캐싱에 따라 새로 고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페이지가 캐시될 때의 시간을 표시하며, 페이지를 실제로 다시 렌더링해야 업데이트됩니다.
- 템플릿 사용: 예약어는 템플릿 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, 템플릿이 삽입된 페이지의 문맥에 따라 값이 결정됩니다.
이 목록은 미디어위키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예약어들을 거의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. 미디어위키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므로, 특정 확장 기능이나 최신 버전에서는 새로운 예약어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. 더 자세한 정보는 [미디어위키 공식 문서 - Magic words](https://www.mediawiki.org/wiki/Help:Magic_words)를 참조하시길 권장합니다.2.1. 날짜 및 시간 관련 변수
{{CURRENTYEAR}}
현재 연도 (예: 2025)
{{CURRENTMONTH}}
현재 월 (01-12, 예: 05)
{{CURRENTMONTHNAME}}
현재 월의 이름 (예: 5월)
{{CURRENTMONTHNAMEGEN}}
현재 월의 소유격 이름 (예: 5월의, 한국어에서는 잘 사용 안됨)
{{CURRENTMONTHABBREV}}
현재 월의 약어 (예: May)
{{CURRENTDAY}}
현재 일 (1-31, 예: 30)
{{CURRENTDAY2}}
현재 일 (01-31, 0으로 시작, 예: 30)
{{CURRENTDOW}}
현재 요일 (0=일요일, 6=토요일, 예: 5)
{{CURRENTDAYNAME}}
현재 요일의 이름 (예: 금요일)
{{CURRENTTIME}}
현재 시간 (HH:MM, 예: 15:58)
{{CURRENTHOUR}}
현재 시간 (HH, 예: 15)
{{CURRENTMINUTE}}
현재 분 (MM, 예: 58)
{{CURRENTSECOND}}
현재 초 (SS, 예: 49)
{{CURRENTWEEK}}
현재 주 (1-53, 예: 22)
{{CURRENTTIMESTAMP}}
현재 타임스탬프 (YYYYMMDDHHMMSS, 예: 20250530155849)
{{LOCALYEAR}}</source>, <source>{{LOCALMONTH}}</source>, <source>{{LOCALDAY}}</source> 등: `CURRENT` 대신 `LOCAL`을 붙이면 위키의 설정된 시간대가 아닌, 사용자의 로컬 시간대에 따라 표시됩니다. ==== 2.2. 페이지 정보 관련 변수 ==== ====<nowiki>{{PAGENAME}}
현재 페이지의 전체 이름 (예: `메인페이지` 또는 `위키백과:사랑방`)
{{PAGENAMEE}}
URL 인코딩된 현재 페이지 이름 (예: `%EB%A9%94%EC%9D%B8%ED%8E%98%EC%9D%B4%EC%A7%80`)
{{FULLPAGENAME}}
현재 페이지의 전체 이름 (네임스페이스 포함, `PAGENAME`과 같지만 특정 상황에서 다를 수 있음)
{{FULLPAGENAMEE}}
URL 인코딩된 전체 페이지 이름
{{SUBPAGENAME}}
현재 페이지가 하위 페이지인 경우, 하위 페이지의 이름만 표시 (예: `부모페이지/하위페이지`에서 `하위페이지`)
{{SUBPAGENAMEE}}
URL 인코딩된 하위 페이지 이름
{{BASEPAGENAME}}
현재 페이지가 하위 페이지인 경우, 상위 페이지의 이름만 표시 (예: `부모페이지/하위페이지`에서 `부모페이지`)
{{BASEPAGENAMEE}}
URL 인코딩된 상위 페이지 이름
{{NAMESPACE}}
현재 페이지가 속한 네임스페이스의 이름 (예: `사용자`, `파일`, `틀`)
{{NAMESPACEE}}
URL 인코딩된 네임스페이스 이름
{{TALKPAGENAME}}
현재 페이지의 토론 문서 이름 (예: `사용자토론:홍길동`)
{{TALKPAGENAMEE}}
URL 인코딩된 토론 문서 이름
{{SUBJECTPAGENAME}}</source> (또는 <source>{{ARTICLEPAGENAME}}</source>): 현재 토론 문서의 본문 문서 이름 (예: `사용자토론:홍길동`에서 `사용자:홍길동`) ====<nowiki>{{SUBJECTPAGENAMEE}}</source> (또는 <source>{{ARTICLEPAGENAMEE}}</source>): URL 인코딩된 본문 문서 이름 ====<nowiki>{{REVISIONID}}
현재 페이지의 최신 리비전 ID (데이터베이스 ID)
{{REVISIONDAY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날짜 (일)
{{REVISIONMONTH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날짜 (월)
{{REVISIONYEAR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날짜 (연도)
{{REVISIONTIMESTAMP}}
현재 리비전이 생성된 타임스탬프
{{REVISIONUSER}}
현재 리비전을 마지막으로 수정한 사용자 이름
{{NUMBEROFPAGES}}
위키 전체의 총 페이지 수
{{NUMBEROFARTICLES}}
위키 전체의 문서(본문 네임스페이스) 수
{{NUMBEROFEDITS}}
위키 전체의 총 편집 수
{{NUMBEROFUSERS}}
위키 전체의 총 사용자 수
{{NUMBEROFADMINS}}
위키 전체의 총 관리자 수
{{NUMBEROFFILES}}
위키 전체의 총 파일 수
{{SITENAME}}
위키의 이름 (LocalSettings.php에서 `$wgSitename`으로 정의)
{{SERVER}}
위키 서버의 URL ([2](http://example.com))
{{SERVERNAME}}
위키 서버의 호스트 이름 (example.com)
{{SCRIPTPATH}}
위키 스크립트가 있는 경로 (예: `/w`)
{{CURLEDITURL}}
현재 페이지의 편집 URL (수정 중이거나 미리보기 중일 때 유용)
2.3. 기타 변수
{{DEFAULTSORT:정렬 키}}
- 설명: 페이지가 여러 카테고리에 분류될 때 사용되는 기본 정렬 키를 설정합니다. 개별 ``에 명시된 정렬 키보다 우선순위가 낮습니다.
- 사용법:
{{DEFAULTSORT:홍길동}}
(이름으로 정렬할 때 성이 먼저 오도록)
{{#time:format string|time string}}
- 설명: 날짜/시간 포맷팅 함수. 매우 강력하며, 다양한 형식으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법:
*
{{#time:Y-m-d H:i:s}}
(현재 시간) *
{{#time:F j, Y|2023-01-01}}
(특정 시간) *
{{#time:l, j M Y|now - 1 week}}
(상대적인 시간)
- 포맷 문자열 예시:
* `Y`: 4자리 연도 (2025) * `m`: 2자리 월 (05) * `d`: 2자리 일 (30) * `H`: 24시간 형식 (15) * `i`: 2자리 분 (58) * `s`: 2자리 초 (49) * `F`: 월의 전체 이름 (May) * `M`: 월의 약어 (May) * `j`: 일 (선행 0 없음, 30) * `l`: 요일의 전체 이름 (Friday)
{{#stat:통계 이름}}
- 설명: 미디어위키 내부의 통계 정보를 가져옵니다. `NUMBEROFPAGES` 등과 유사하지만, `stat`는 더 유연하고 다양한 통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- 사용법:
{{#stat:pages}}
,{{#stat:edits}}
,{{#stat:users}}
등. - 예시: `현재 위키의 총 페이지 수는 {{#stat:pages}} 개 입니다.`
{{int:메시지 키}}
- 설명: 미디어위키 시스템 메시지를 가져옵니다. 특정 UI 텍스트를 위키 페이지 내에서 참조할 때 사용됩니다.
- 사용법:
{{int:edit}}
(편집)
---
- 예약어 사용 시 주의사항
- 대소문자 구분: 대부분의 예약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. (예:
__NOTOC__
와__notoc__
는 동일) 하지만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가 일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- 중괄호/밑줄: 동작어는
__
(두 개의 밑줄)로 둘러싸고, 변수는{{ }}
(두 개의 중괄호)로 둘러싸야 합니다. `#time`과 같은 일부 파서 함수는 `#` 접두사를 사용합니다. - 위치: 동작어는 페이지의 어느 곳에나 배치할 수 있지만, 일반적으로 페이지 상단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캐싱: 일부 예약어(특히 시간 관련)는 페이지 캐싱에 따라 새로 고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페이지가 캐시될 때의 시간을 표시하며, 페이지를 실제로 다시 렌더링해야 업데이트됩니다.
- 템플릿 사용: 예약어는 템플릿 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, 템플릿이 삽입된 페이지의 문맥에 따라 값이 결정됩니다.
이 목록은 미디어위키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예약어들을 거의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. 미디어위키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므로, 특정 확장 기능이나 최신 버전에서는 새로운 예약어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. 더 자세한 정보는 [미디어위키 공식 문서 - Magic words](https://www.mediawiki.org/wiki/Help:Magic_words)를 참조하시길 권장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