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 여닫기
개인 메뉴 토글
로그인하지 않음
만약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.

Day 17: 조건문

데브카페
Day 17: 조건문과 가정법 (Conditionals and Subjunctive Mood - Using "If")

조건문은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를 설명하는 문장 구조로, 주로 if를 사용하여 조건을 설정합니다. 조건문의 종류에는 현실 가능성에 따라 1형식, 2형식, 3형식 조건문이 있으며, 가정법은 현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됩니다.


---

1. 1형 조건문 (First Conditional)

의미: 현실적이고 가능성이 있는 조건을 나타내며, 주로 현재의 조건이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.

구조: If + 주어 + 현재 시제, 주어 + will/can/may + 동사 원형

사용 방법:

조건이 충족되면 미래에 발생할 결과를 예측할 때

예: "If it rains, I will stay home." (비가 오면 나는 집에 있을 것이다.)


자주 사용되는 예시:

"If you study, you will pass the exam." (공부하면 시험에 합격할 것이다.)

"If she calls, I will answer." (그녀가 전화하면 받을 것이다.)



---

2. 2형 조건문 (Second Conditional)

의미: 현재나 미래의 가정적이고 비현실적인 상황을 나타내며, 가능성이 낮은 조건이나 상상을 표현합니다.

구조: If + 주어 + 과거 시제, 주어 + would/could/might + 동사 원형

사용 방법:

현재나 미래의 가정적인 상황을 상상하거나 그 결과를 나타낼 때

예: "If I were rich, I would travel the world." (내가 부자라면 전 세계를 여행할 텐데.)


자주 사용되는 예시:

"If he had more time, he could help you." (그가 시간이 더 있다면, 너를 도와줄 수 있을 텐데.)

"If I were you, I wouldn’t do that." (내가 너라면, 그렇게 하지 않을 거야.)


주의사항:

2형 조건문에서는 **be동사의 모든 주어에 대해 "were"**를 사용해 가정적인 의미를 강조합니다. (예: "If I were...")



---

3. 3형 조건문 (Third Conditional)

의미: 과거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여, 그 결과가 과거에 어떻게 되었을지 표현합니다. 이미 지나간 일에 대한 후회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
구조: If + 주어 + had + 과거분사, 주어 + would/could/might + have + 과거분사

사용 방법:

과거에 특정한 조건이 충족되었다면 일어났을 결과를 나타낼 때

예: "If I had known about the party, I would have gone." (내가 그 파티에 대해 알았다면, 갔을 텐데.)


자주 사용되는 예시:

"If she had studied harder, she might have passed the test." (그녀가 더 열심히 공부했다면, 시험에 합격했을지도 모른다.)

"If we had left earlier, we could have avoided the traffic." (우리가 일찍 떠났더라면, 교통을 피할 수 있었을 텐데.)


주의사항:

3형 조건문은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가정이므로, 현실과 반대되는 과거를 표현합니다.



---

혼합 조건문 (Mixed Conditionals)

혼합 조건문은 다른 시간대의 조건과 결과를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