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른 명령
Day 20: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 (Subjunctive Mood - Past and Past Perfect)
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는 비현실적인 가정이나 소망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. 가정법 과거는 현재와 반대되는 상황을,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와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됩니다.
---
1. 가정법 과거 (Subjunctive Past)
영문 원뜻: "Subjunctive" comes from the Latin subjunctivus, meaning "subjoined or subordinate," implying hypothetical or wishful thinking. "Past" refers to a time that is currently unreal or contrary to fact.
한글 원뜻:
- 가정법(假定法)**에서 **가정(假定)**은 '가짜로 정한다'는 뜻으로, 현실과 다른 상황을 가정함을 의미합니다. 과거라는 표현은 현재와 반대되는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쓰입니다.
특징: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이나 소망을 표현할 때 사용되며, 주어에 관계없이 were를 사용해 비현실성을 강조합니다.
사용 방법:
If + 주어 + 과거형 동사, 주어 + would/could/might + 동사 원형
현재와 반대되는 상황이나 사실이 되길 바라는 소망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.
자주 사용되는 예시:
"If I were rich, I would travel the world." (내가 부자라면, 전 세계를 여행할 텐데.)
"If he had more time, he could help us." (그에게 시간이 더 있다면, 우리를 도울 수 있을 텐데.)
"I wish I were taller." (내가 더 키가 크다면 좋을 텐데.)
주의사항:
가정법 과거에서는 주어가 무엇이든 **be 동사는 "were"**로 쓰여 비현실적인 상황을 나타냅니다.
If 없이 wish를 사용할 때도 같은 구조로 쓰이며, 소망을 표현합니다.
---
2. 가정법 과거완료 (Subjunctive Past Perfect)
영문 원뜻: "Subjunctive" suggests hypothetical or wishful scenarios, and "Past Perfect" refers to an action that would have been completed in the past if conditions had been different.
한글 원뜻: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와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여, '그때 그렇게 되지 않았더라면'이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.
특징: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이나 결과를 가정하며, 이미 지나간 일에 대한 후회나 아쉬움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사용 방법:
If + 주어 + had + 과거분사, 주어 + would/could/might + have + 과거분사
과거에 어떤 일이 다르게 일어났다면 발생했을 결과를 나타냅니다.
자주 사용되는 예시:
"If I had known, I would have helped you." (내가 알았더라면, 너를 도왔을 텐데.)
"If she had studied harder, she might have passed the exam." (그녀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, 시험에 합격했을지도 모른다.)
"I wish I had gone to the party." (내가 그 파티에 갔더라면 좋았을 텐데.)
주의사항:
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에 대한 아쉬움이나 후회를 나타내므로, 실제로는 이미 일어난 일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합니다.
wish를 사용하여 아쉬움을 표현할 때도 같은 구조를 사용합니다.
---
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의 요약
가정법 과거: 현재와 반대되는 가정을 표현하며, If + 주어 + 과거형 동사, 주어 + would + 동사 원형 형태로 쓰입니다.
예: "If I were you, I would apologize." (내가 너라면, 사과할 텐데.)
가정법 과거완료: 과거와 반대되는 가정을 표현하며, If + 주어 + had + 과거분사, 주어 + would have + 과거분사 형태로 쓰입니다.
예: "If I had known, I would have done it differently." (내가 알았더라면, 다르게 했을 텐데.)
이렇게 가정법을 통해 비현실적이거나 상상적인 상황, 또는 아쉬운 마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